[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한국은행이 내년 중 기준금리를 연 1.25%까지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경기회복세가 뚜렷한 만큼 통화량 조절을 통해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오는 15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회의를 비롯해 올 연말까지는 0.5%인 기준금리를 유지하겠지만 전세계 경기회복 속도가 빠른데다 주식·부동산 투자를 위한 가계부채가 급증하고 있는 현실을 외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금리인상 압력에도 버틸 경우 인플레 논쟁이 다시 점화될 가능성에도 무게가 실린다.
12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트레이딩이코노믹스는 한은이 이번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하고, 내년 중 한은이 기준금리를 연 1.25% 수준까지 올릴 것으로 추정했다. 또 후년인 2023년 한은 기준금리는 1.50%까지 오를 것으로 봤다. 기준금리를 한 번에 25bp(1bp=0.01%포인트)씩 올린다고 가정했을 때 이르면 올 연말부터 기준금리 인상 여부가 논의될 수도 있다는 뜻이다.
기준금리에 관심이 모아지는 것은 경기 개선세가 뚜렷하기 때문이다. 이날 관세청에 따르면 4월 1~10일 수출액은 150억달러로 전년동기대비 24.8%(29억9000만달러) 늘어 수출 증가세가 6개월 연속 이어질 가능성이 커졌다. 2월 전(全)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도 전월보다 2.1% 증가했다. 수출에 힘입어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도 잇따라 상향 조정돼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3.6%로 높였다. 국제금융센터가 집계한 세계 9개 투자은행(IB)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3.8%까지 올랐다.
경기 회복과 더불어 한은이 주목하는 부분은 미국을 중심으로 한 인플레이션 여부다. 전문가들은 2분기에 높은 물가상승률이 확인되면서 인플레이션 논쟁이 재점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주 발표될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2%중반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물가가 예상보다 더 높아지면 중앙은행들도 이를 무시하기 어렵다. 중앙은행들의 주요 책무가 물가안정이기 때문이다.
한은은 또 하반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점도표(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예상해 점으로 찍은 표)를 주목하고 있다. 미국의 물가급등세가 이어지면 점도표로 나타난 금리인상 시기도 앞당겨질 수 있고, 한은은 ‘선택의 기로’에 설 수 밖에 없다. 지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위원들은 점도표에서 2024년 첫 금리인상을 점쳤지만, 경기회복세가 뚜렷해지고 물가가 급등하면 점도표도 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경기회복세가 나타나면 날수록 인플레 논쟁은 당분간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Fed는 급격한 인플레 가능성은 낮다며 시장을 진정시키려 하고 있는데, 시장이 이를 믿지 못하고 Fed의 움직임과 발언, 지표 등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박성우 DB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Fed의 기조를 뒤바꿀 정도의 지속적인 인플레 발생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이지만, 앞으로 몇 달 동안 높은 물가상승률 수치가 발표될 것"이라며 "인플레 지속성과 Fed 입장변화에 대한 논쟁은 커질 수 있다"고 전했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