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안 비용추계분석] 尹정부서 발의 법안 추계비용 줄어든 이유는
작성자 정보
- 작성자 슈어맨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8,116
본문
![]() [아시아경제 금보령 기자, 박준이 기자] 윤석열 정부와 문재인 정부 출범 후 130일 동안 발의된 법안의 비용추계가 큰 차이를 보이면서 전문가들은 ‘큰 정부’ 대 ‘부자 감세’ 프레임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에 관심을 두고 있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세금을 많이 낸다는 것 자체가 소위 말하는 있는 사람들의 얘기일 테니 세금을 깎아준다는 건 일종의 부자 감세로 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세금을 줄인다고 무조건 부자 감세라고 볼 것이 아니라 세금 가운데에서도 경제에 부담을 주는 세금은 사실은 줄이는 게 맞다"며 "지난 정부 기간에 세금이 상당히 증가하면서 국민들이 어려움을 겪었다"고 강조했다. ‘큰 정부와 작은 정부’를 표방하는 성향도 고스란히 반영됐다는 평가도 나왔다. 정창수 나라살림연구소장 또한 "문재인 정부는 큰 정부 역할을 하려고 하는 게 있을 거고, 윤석열 정부는 작은 정부를 지향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과 교수는 "현 정부가 전반적으로 재정 준칙도 만드는 등 재정 부분들에 대해 상당히 선별적으로 하겠다는 기조가 있다 보니 아무래도 사업, 예산 부분들에 대해 상당히 까다롭게 할 수도 있어서 법안들 (액수가) 상당히 줄어들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며 "아무리 국회의원 입법 발의라고 해도 어쨌든 정부가 예산적인 측면에서 뒷받침을 해줘야 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국민의힘이 조세 수입 감소 예상 법안을 다수 발의한 부분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뤄진 것으로 생각했다. 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시아경제(www.asiae.co.kr)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