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국감] 외통위, 대일 저자세 외교 공방…"너무 조급" vs "실타래 푸는 과정"
작성자 정보
- 작성자 슈어맨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9,219
본문
![]() [아시아경제 임춘한 기자] 국회 외교통일위원회는 9일 주일 한국대사관 국정감사에서 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와 윤석열 정부의 대일 저자세 외교를 둘러싸고 공방을 벌였다. 박병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우리 정부가 민관협의회 논의를 통해 징용 배상 문제 해법으로 마련한 것으로 알려진 병존적 채무 인수 방안에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징용 문제를 해결하려면 피해자 중심주의와 법적 시비의 차단이라는 두 가지가 필요하다"며 정부가 추진하는 안은 피해자 동의 없이도 배상을 집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배상 주체로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논의되고 있다고 언급하고 "국민 공감대를 얻으려면 민관협의회는 총리가 주재하고, 야권 고위인사가 참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윤덕민 주일 한국대사는 "결정된 안이 아니고, 하나의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며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에 따른 문제가 있기 때문에 피해자 중심으로 대법원 판결을 존중하면서 한일 충돌 없이 해법을 모색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답했다. 이원욱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김홍걸 무소속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가 지난달 미국 뉴욕 유엔 총회를 계기로 한 양자 회담의 성사 과정과 형식을 비판했다. 윤 대사는 저자세 외교라는 표현에 동의하지 않는다면서 "우리가 할 일, 일본이 해야 할 일이 분명히 있다. 임춘한 기자 choon@asiae.co.kr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시아경제(www.asiae.co.kr)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