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 "공익직불제 3조4000억원으로 확대…농가 소득 안정성 보장
작성자 정보
- 작성자 슈어맨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7,486
본문
국민의힘과 정부는 27일 농업인에게 지원하는 보조금인 공익직불금을 3000억원 증액한 3조4000억원 예산 규모로 확대하고, 향후 농업직불 예산을 5조원 규모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한국형 소득·경영 안전망을 주제로 열린 민당정 협의회 이후 이같이 발표했다. 당정은 공익직불금을 포함해 다양한 농업 직불제의 확대를 위해 향후 예산을 5조원으로 늘린다. 기본 직불금 단가의 경우 논과 밭의 격차를 완화하고 단가를 상향조정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주요 식량 작물을 재배할 때 지급되는 전략 작물 직불금 지원 면적도 확대하고 단가를 인상할 예정이다. 환경·생태 보전 활동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충분히 보상할 수 있도록 농축산 직불금 지급 상한을 확대하고 저탄소 농업프로그램 지원 물량도 늘린다. ![]() 재해복구비 지원 단가도 농작물 재해 위험을 고려해 평균 23% 인상하고 농기계 및 설비도 지원 대상에 포함시켰다. 자연재해나 시장 가격 하락으로 감소한 농업 수입을 최대 85%까지 보상해주는 농업수입안정보험은 내년부터 전면 도입된다. 그간 자연재해가 발생하면 재해보험을 통해 수확량 감소만큼만 보상받았지만, 내년부터는 가격하락에 따른 수입 감소도 보상받을 수 있게 된다. 품목별 수입은 기준가격에 농가별 수확량을 곱해 산출되는데, 기준가격 산정 방식에 따라 보험 상품은 과거수입형(평년가격 기준), 기대수입형(수확기 가격 상승분 일부 반영), 실수입형(실제 수취가격 기준) 3가지 유형으로 운영될 계획이다. 당정은 농산물 가격안정을 위해 선제적인 수급관리도 추진한다. 축산물의 경우 현재 상황 외에 미래 전망에 따라 별도 수급 경보체계를 신설하고, 수급 관리 조치 참여 여부에 따라 농가별로 인센티브와 페널티를 부여할 계획이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소득 안정을 위한 공익 직불제 확대 방안, 재해와 가격 변동에 대응하는 정책보험 체계 개편 방안, 농산물의 가격 안정을 위한 선제적 수급 관리 방안이 겹겹이 쌓여 농업인을 지키는 촘촘한 안전망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국민의 먹거리를 책임지는 농업이 나라의 근본이라는 자세로 국민의 힘이 앞장서서 챙기겠다"고 전했다. 김 정책위의장도 "시장을 왜곡하지 않는 정책보험 방식으로 경영 위험관리 체계를 마련했다"며 "안정적으로 농산물을 공급하는 기반이 조성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시아경제(www.asiae.co.kr)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