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낙규의 Defence Club]커지는 핵무장론… 실현 가능할까
작성자 정보
- 작성자 슈어맨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9,335
본문
![]() [아시아경제 양낙규 군사전문기자]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이어지면서 정치권을 중심으로 미군의 핵 공유를 비롯한 대북 핵전략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국민의힘 유승민 전 의원은 페이스북에 "이제는 우리가 새로운 게임체인저를 만들어 가야 한다"면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상대로 핵 공유, 전술핵 재배치 협상을 시작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근 핵무장에 대한 주장이 나오는 것은 미국의 핵우산 실행력을 확보하는 것이 절실하지만, 한·미 동맹을 기반으로 가동되는 핵우산에 대한 의심의 시선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핵무장에 대한 찬성론은 이어지는 이유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도 “이스라엘과 인도, 파키스탄도 달성한 핵무장 목표를 한국만 달성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것은 지나친 패배 의식”이라며 “한국이 독자적 핵무장을 통해 ‘남북 핵 균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초당적 협력과 정교한 대미, 대중, 대일 설득 전략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현 정부에서는 북한의 비핵화를 유도한다는 차원에서 국내에 미국의 전술핵을 재배치하는 것에 대해 소극적인 입장이다. 현 정부에서 전술핵 재배치를 비롯한 핵무장에 대한 부담을 갖는 것은 핵확산금지조약(NPT)과 한미 원자력협정,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 등 국제사회에 공약해온 비핵화 규범을 이탈하는 고도의 정치적 결단에 직면하기 때문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대안으로 나토(NATO)식 핵 공유 협정을 제안한다. 김태우 전 통일연구원장은 "한국이 핵사용 결정에 참여하는 나토(NATO)식 핵 공유 협정을 맺어 한국 인근 지역에 전술핵을 배치해 공대지 전투기를 운영하거나 핵잠수함의 인근 해역 상시 배치 등의 방법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양낙규 군사전문기자 if@asiae.co.kr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시아경제(www.asiae.co.kr)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