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이 5년 못 채우게” 김용민에 혀를 찬 박수현…“민주당이 이러쿵저러쿵할 일 아냐”
작성자 정보
- 작성자 슈어맨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8,854
본문
박수현 “민주당 내부에서 이런 발언 나오지 않을까 걱정하던 참” “尹 정부는 이제 시작… 국정운영 잘 되고 지지율이 올라야 국민이 잘 가는 것” 김재원 “민주당이 불순한 생각 가지니 사려 깊지 못한 분이 함부로 떠드는 거 아닌가”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주장하는 진보 단체 주도 집회 무대에서 ‘5년을 채우지 못하게 해야 하지 않는가’라는 취지로 발언한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두고 박수현 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왜 저 집회에 국회의원 신분으로 갔는지 납득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박 전 수석은 11일 SBS ‘주영진의 뉴스브리핑’에 출연해 “개인적으로 민주당 내부에서 이런 발언이 나오지 않을까 하고 걱정을 하고 있던 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저런 집회에 참석했을 때 정치인은 그 집회의 성격이나 기대에 맞는 발언을 하게 되어 있다”며 “(그래서) 저 현장에서 저렇게 발언을 하게 된다”고 비판했다. 앞서 김 의원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청계광장에서 진보 단체들을 주축으로 해 열린 ‘윤석열 퇴진’ 촛불집회에 참석해 “여러분이 뽑은 대통령을 다시 물러나게도 할 수 있다”며 “그게 국민 주권 실현”이라고 말했다. 자리에서 김 의원은 “처음부터 자격이 없는 사람이 대통령이 돼 나라 꼴이 엉망이 됐다”며 “윤석열 정부가 끝까지 5년을 채우지 못하게 하고 국민의 뜻에 따라 빨리 퇴진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하지 않겠냐”고 했다. 김 의원의 이러한 발언은 현역 국회의원 중에서는 처음으로 윤 대통령 퇴진을 주장한 것이다. 김 의원은 이튿날인 9일에도 자신의 SNS에서 “우리는 권력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며 “불의를 보고도 침묵한 것으로 역사에 기록될 것이 두려워 거리로 나왔다”고 집회 의미를 내세웠다. 그러면서 “불공정과 몰상식에 분노해 나온 것”이라며, “역사의 물줄기 방향을 정하는 것은 결국 주권자 국민”이라고 강조했다.
박 전 수석은 방송에서 “불행한 일이지만 그런 탄핵이 생긴다면 그것도 국민이 결정할 일이지 민주당이나 국회의원이 이러쿵저러쿵할 일이 아니다”라고 김 의원의 행동을 비판했다. 이어 “윤석열 정부는 이제 시작이고 지탄도 받았지만, 임기가 남은 대통령의 국정운영이 잘 되고 지지율이 올라야 대한민국 국민과 대한민국이 잘 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비슷한 맥락에서 “(민주당이) 거대 야당이라는 평가를 받는데 (민주당은) 국정운영에 협조하고 국민 이익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국정을 함께 운영하는 파트너로서 (해야 한다)”라며 “야당 구성원으로 책임 있는 의원의 발언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거듭 부연했다. 박 전 수석은 일종의 자만심이 민주당에게 있다고 짚었다. 그는 “국민의힘이 내홍을 겪으면서 (민주당은) ‘자 봐라, 쌤통이다, 우리 민주당이 이런 때 인기가 더 올라가겠지’라고 막연한 태도를 갖는다”며 “같은 잣대로 국민에게 혼날 것”이라고 봤다. 이러한 이유로 민주당 지지율이 집권 여당의 모습을 제대로 보이지 못하는 국민의힘과 비슷한 거라고도 했다. 박 전 수석은 “김용민 의원의 발언이 당과 당원 앞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살펴봐야 할 것”이라며 “당 지도부도 이런 발언에 대해 미리 경고하고 단속하는 그런 모습을 이재명 대표가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같은 방송에서 김재원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박 전 수석의 이러한 발언에 “어떻게든 수습하려고 안간힘을 쓰시는데 그렇게 혼자 방송에 나와 안간힘 쓴다고 해결될 문제인가”라고 반응부터 했다. 아울러 민주당을 놓고는 “국정 감시·감독도 철저히 하고 대안도 제시하고 (그래야 하는데)”라며 “(대선 패배에) 불복하는 마음이 있고, 국정 대혼란을 일으켜서 임기를 중단시키겠다는 불순한 생각을 갖고 있으니, 저렇게 (김용민 의원처럼) 사려 깊지 못한 분이 나와서 함부로 떠드는 거 아닌가”라고 날을 세웠다. 계속해서 박 전 수석을 향해서는 “당에 저 의원의 징계를 요구하라”며 “당원권 정지 1년6개월 정도는 해야 하지 않느냐”는 말로 단순히 방송에서가 아닌 실제 움직임을 우회적으로 촉구했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