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동두천 등 5개 정수장서 깔따구 유충 발견…환경부, 사전 차단조치 완료
작성자 정보
- 작성자 슈어맨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32,322
본문
전국 정수장 447곳 위생관리 실태 점검![]() [세종=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환경부의 정수장 실태점검결과 경기도 연천·동두천, 충남 성주, 충북 고암, 강원도 산양정수장 등 5곳의 정수에서 깔따구 유충이 소량 발견됐다. 환경부는 수돗물 유충 발생 사전예방 및 관리를 위해 전국 정수장 447곳에 대해 올해 3월 15일부터 4월 12일까지 위생관리 실태 점검과 조치 결과 15일 이 같이 밝혔다. 점검 결과 5곳의 정수장 정수에서 깔따구 유충이 소량 발견되고, 18곳의 정수장은 원수 및 정수처리과정에서 유충이 발견됐다. 환경부는 정수에서 유충이 발견된 5곳의 정수장에 대해 수계전환을 통한 광역상수도 전환, 정수처리 강화, 정수지와 배수지 청소 및 유충 차단망 설치 등의 조치를 취해 유충이 수돗물을 공급받는 곳(수용가)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경기 연천 및 동두천 정수장의 경우 동일한 취수원을 사용하는 정수장으로 원수에 유충이 유입된 것을 처리공정에서 제거하지 못해 정수에서 발견된 것"이라며 "충남 보령시 성주정수장의 경우 역세척수와 정수 등에서 유충이 발견됐는데 방충망 일부 손상 및 정수지 내부 청결상태가 미흡한 것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정수에서 유충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원수 및 여과지 내벽, 역세척수 등의 처리과정에서 유충이 발견된 18곳의 정수장에 대해 유충 차단조치 및 처리공정별로 거름망을 설치해 확인하고 있다. 환경부는 이번 실태점검 과정에서 역세척 성능저하와 공기 역세척 불가, 여재층 부실, 약품공정 부재 등이 나타난 32곳의 정수장에 대해 기술지원 및 개선방안을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제시하고, 내년도 정수장 위생관리 개선사업 예산에 신규로 반영할 예정이다. 신진수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은 "국민이 유충 걱정 없이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수돗물 공급을 위해 지자체와 협력해 원수부터 수돗물 생산 공급 전 과정에 대한 철저한 사전 관리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