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뉴스

고시원·판잣집도…사실상 전국이 전월세신고제 대상

작성자 정보

  • 작성자 슈어맨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16184635690724.jpg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오는 6월부터 시행되는 전월세신고제는 도시지역 주택 임대차 거래 대부분이 신고 대상이 될 예정이다.
신규 계약 뿐 아니라 갱신 계약도 보증금이나 월세 등 금액이 바뀌면 신고해야 한다.
세부내용을 문답으로 정리했다.


-전월세 신고제 대상 주택은

▲주택임대차보호법 적용을 받는 모든 주택이다.
아파트, 다세대 등 주택 외에 고시원·기숙사 등 준주택, 공장·상가 내 주택, 판잣집 등 비주택도 해당된다.


-신고 대상 지역은.

▲수도권 전역과 광역시, 세종시, 도의 시 지역으로 규정해 사실상 전국이 대상이다.
다만 경기도를 제외한 지방 도의 군 지역은 제외된다.


-신고 금액 기준은.

▲임대차 보증금 6000만원을 초과하거나 월세가 30만원을 넘기면 신고해야 한다.
반전세의 경우 보증금이나 월세 중 하나라도 이 기준을 초과하면 신고 대상이다.


-어떻게 신고하나.

▲임대한 주택의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등 기존 통합민원 창구에서 신청할 수 있다.
임대인과 임차인이 신고서를 작성하고 공동 서명 후 신고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임대차 계약서를 제시하면 둘 중 한 쪽이 신고해도 된다.
계약 내용을 증빙할 수 있는 문서나 통장 입금내역 등을 제시해도 된다.


-온라인으로도 신고가 가능한가.

▲가능하다.
정부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rtms.molit.go.kr)에 접속해 신고하면 된다.
이 경우 계약서를 촬영한 사진을 첨부해야 한다.


-갱신한 계약도 신고해야 하나

▲갱신도 신고해야 한다.
다만 계약 금액 변동이 없을 경우 신고 대상에서 제외된다.


-미신고시 무조건 과태료 100만원을 내나.

▲아니다.
사안에 따라 4만원에서 100만원까지 다양하다.
4만원은 1억원 미만 임대차 계약이 이뤄진지 3개월 이내인 경우다.
계약일로부터 2년이 지나면 최대금액인 100만원이 부과된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6,362 / 1120 페이지
번호
제목/내용

공지사항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