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1분기 경제성장률 1.6%…연간 성장률 ‘3% 중반’ 가능할 것
작성자 정보
- 작성자 슈어맨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31,658
본문
![]() 박양수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이 27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2021년 1/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의 주요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반도체 수출이 늘면서 설비투자가 커졌고, 민간소비도 증가 전환한 영향이 컸다. 시장 전문가들은 한국 경제 규모가 사실상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했단 평가를 내놓는다. 올해 연간 성장률은 3% 달성이 무난할 것으로 점쳐진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 분기 대비 1.6% 성장했다. 지난해 3분기 2.1%, 4분기 1.2%에 이어 회복세를 이어간 셈이다. 코로나 발생 직전인 2019년 4분기(1.3%)보다도 높다. GDP 규모도 470조8467억원으로 2019년 4분기(468조8143억원)를 상회했다. 이는 시장 기대를 웃도는 수치다. 당초 시장 전문가들은 1.2~1.3% 수준의 성장률만 나와도 무난한 성장 흐름이 조성될 거라 판단했다. 이를 이끈 건 ‘소비 회복’이다. 민간소비는 승용차, 가전제품 등 내구재와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등이 늘면서 전분기 -1.5%에서 1.1% 증가해 플러스 전환했다. 재난지원금 영향으로 민간소비가 0.7% 늘었던 지난해 2분기 이후 최대폭 증가다. 민간소비의 성장기여도는 1.3%포인트에 달했다. 설비투자도 쌍두마차 역할을 했다. 작년 4분기 -2%로 주저앉았던 설비투자는 전분기보다 6.6% 성장했다. 반도체 수출 증가의 영향으로 기계류와 운송장비가 늘어난 영향이다. 수출도 긍정적인 분위기를 이어갔다. 자동차, 이동전화기 등을 중심으로 1.9% 증가했다. 작년 3분기 16% 증가한 후 3분기 연속 증가세다. 수입 역시 기계 및 장비, 1차 금속제품 등을 중심으로 2.4% 늘었다. 이외 건설투자는 건물건설이 늘어 0.4% 증가했고, 정부소비도 물건비 지출을 중심으로 1.7%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농림어업이 6.5% 늘었다. 2004년 1분기(12.5%) 이후 17년 만의 최고치다. 무, 당근 등의 작황이 좋았던 점이 영향을 미쳤다. 제조업도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기계 및 장비, 운송장비 등이 늘어 2.8% 커졌다. 이밖에도 전기가스수도사업은 6.2%, 건설업은 0.4%, 서비스업은 0.8%의 증가율을 각각 나타냈다. 이로써 연간 성장률 ‘3% 달성’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당초 이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1분기 GDP 1.4% 이상이 깔렸었다. 시장에선 이를 넘어서 올해 성장률이 3%대 중후반에 이를 거란 전망도 나온다. 실제로 앞서 국제통화기금(IMF)은 3.6%, 현대경제연구원은 3.5%,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3.3%의 성장률을 각각 제시한 바 있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도 “1분기 수치만 보면 3% 중반 이상의 성장률을 달성할 것이란 시장 기대가 형성될 것"이라며 "연간 3.8% 성장하려면 산술적으로 분기별 0.6~0.7% 성장하면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다만, ‘코로나’ 백신 보급은 여전히 상존하는 변수다. 최근 코로나 19 확진자 수가 700명대로 커지면서, 불확실성이 쉽게 해소되지 않는 상황이다. 한영훈 기자 han@ajunews.com |
관련자료
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