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림 "양재 도시첨단물류단지, 포장 쓰레기 없는 물류시스템 만들겠다"
작성자 정보
- 작성자 슈어맨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20,136
본문
![]() [아시아경제 이승진 기자] 서울 양재동에 도시첨단물류단지 조성사업을 추진하는 하림산업이 6대 비전 구상을 밝혔다. 하림산업은 30일 서울시의회가 주최한 ‘도시첨단물류단지의 협력적 개발을 위한 토론회’에서 도시첨단물류단지에 ▲배송 쓰레기 발생의 근본적 차단 ▲음식물 쓰레기 100% 재활용 ▲청정에너지 운송 ▲택배종사자의 안전하고 쾌적한 일터 ▲첨단 융복합산업의 인큐베이터 ▲농촌과 도시, 중소기업의 상생발전 가교 등 6대 비전을 실천할 것을 강조했다. 토론회에서 김기만 하림산업 대표는 “과거 복합유통단지 사업이 추진됐던 부지여서 마치 유사한 도시개발사업이 다시 추진되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다”며 “하지만 양재 도시첨단물류단지 개발사업은 2016년 물류시설법이 시행되면서 처음 도입되어 기존 사례가 없는 공공성 물류유통 인프라 조성사업으로 일반 도시개발사업과는 본질이 다르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또 “서울시 도시계획부서에서도 해당 부지에는 이미 400%라는 용적률 기준이 있다거나 개발 규모에 비해 공공기여가 부족하다는 등의 주장을 한 바 있는데, 이 역시 도시첨단물류단지 조성사업이 기존 국토계획법의 틀 안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잘못된 고정 관념 때문일 것”이라며 “지구단위계획 변경 등 복잡한 도시계획 절차들을 일괄 심의 의제처리하고 용적률이나 공공기여에서도 법령으로 정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개발을 유도하는 물류시설법의 취지와 관련 규정들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도시계획국 심재욱 시설계획과장은 "도첨단지 개발 사업은 형식과 내용 면에서 핵심이 돼야 할 물류시설이 대부분 지하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판매·주거 등 복합개발이 허용돼 사실상 도심지 내 일반적 대규모 복합개발 사업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일축했다. 김 대표는 “법령으로 정해준 인센티브에 대해 서울시 도시계획 부서에서는 ‘특혜 논란이 있을 것’이라고 예단하거나 심지어 용적률에 지하부를 포함시키는 수치를 내세워 과밀개발이라는 나쁜 프레임을 씌운다”며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처사”라고 반박했다. 앞서 하림산업과 서울시는 도시첨단물류단지 조성사업을 두고 평행선을 달려왔다. 한편 옛 한국화물터미널 부지 개발을 둔 서울시와 하림산업의 대립은 5년째 이어지고 있다. |